하루경제

과거 경제 위기 - 석유 파동

뉴욕쓰 2023. 5. 4. 20:01
반응형

오늘은 과거 있었던 "경제 위기 중에서 석유 파동"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1970년대 석유파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일어났습니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석유 수요가 급증하면서 석유 생산국들이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가격을 인상하려는 시도였습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석유 수입국들은 가격 인상에 반발하여 석유 생산국들에 대한 보복 조치를 취하였고, 이로 인해 석유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석유파동이 시작되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석유파동은 1973년 아라비아 연맹의 이스라엘과의 전쟁으로 인해 한층 가속화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을 지원하는 미국이 아라비아 연맹에 대한 제재를 가하면서 석유 수급이 급감하였고, 이로 인해 석유 가격이 급상승하게 되었습니다.

 

석유 파동 당시

그럼 이런 석유 파동은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요?

 

1. 인플레이션: 석유파동으로 인해 에너지 가격이 급상승하면서 생산 비용이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생산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을 야기하였습니다.

2. 경제 불황: 석유파동으로 인해 에너지 비용이 증가하면서 기업의 생산비용이 증가하였고, 이는 기업의 이익을 감소시켰습니다. 또한,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실업률이 상승하였습니다.

3. 환율 변동: 석유파동으로 인해 수입 국가의 거대한 자금 유출이 발생하면서 수출 국가의 화폐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는 환율 변동을 야기하였습니다.

4. 경제 구조 변화: 석유파동 이후에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에너지 절약 및 대체 에너지 개발을 촉진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에너지 산업의 구조 변화를 야기하였으며, 신재생에너지 및 탄소 배출 저감 기술 등의 분야에 대한 연구 개발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석유 파동

 

이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의 많은 노력이 있었습니다.

 

1. 에너지 절약 정책: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석유파동 이후 에너지 절약 정책을 시행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대중교통의 개선 및 확대, 건축물의 절약적 설계, 산업 부문에서의 고효율 에너지 사용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2. 대체 에너지 개발: 석유파동 이후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대체 에너지 개발을 촉진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는 태양광, 풍력, 수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와 핵전지, 수소 등의 대체 에너지가 있습니다.

3. 국제적인 협력: 석유파동 이후 국제적인 에너지 안보와 에너지 다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이를 위해 국제 에너지 기구인 에너지 기구(IEA)가 창설되었으며, 에너지 안보와 에너지 다변화를 위한 다양한 협력이 이루어졌습니다.

4. 생산국과 수입국의 대화: 석유파동을 겪은 생산국과 수입국은 서로 대화를 시도하였습니다. 생산국은 생산량을 줄이고 가격을 안정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였고, 수입국은 생산국에 대한 경제적인 보상 등을 제안하였습니다.

 

글로벌화

 

석유 파동이후 어떻게 됐을까?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의 석유파동 이후, 세계 경제는 큰 변화를 겪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주로 다음과 같은 방면에서 일어났습니다.

1. 에너지 산업 구조 변화: 석유파동 이후,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 산업 구조가 변화하였습니다. 석유 대신 신재생 에너지, 핵에너지, 천연가스 등의 대체 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늘어났고, 석유 생산량의 점차적인 감소가 예상되어 생산국들은 다양한 산업 전환을 시도하게 되었습니다.

2. 인플레이션과 금리 상승: 석유파동 이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이 급증하였으며, 중앙은행들은 이를 막기 위해 금리를 상승시켰습니다. 이는 미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경제적인 불안과 신용 위기를 초래하게 되었습니다.

3. 국제 경제 관계 변화: 석유파동 이후, 생산국과 수입국 간의 에너지 관계가 달라지면서 국제 경제 관계에도 큰 변화가 생겨났습니다. 수입국들은 생산국의 수입 감소나 가격 인상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게 되었으며, 생산국들은 가격 안정을 위해 수입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였습니다.

4. 글로벌화의 시작:석유파동 이후, 세계적인 글로벌화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인 경제와 산업 구조의 변화뿐 아니라 국제적인 문화 교류와 정보교환의 발전을 가져왔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세계 경제의 대대적인 변화를 초래하였고, 석유파동 이후 다양한 산업과 기술의 발전, 그리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와 환경에 대한 관심과 투자 등을 촉진하는 데에도 기여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