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까지 SK이노베이션 유상청약일이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우리 사주와 구주주를 대상으로 1조 3천억 규모의 유상증자를 했지만,
어제 기준으로 100% 청약에 실패하였습니다.
청약률은 87.66%로 실권주가 총 101만 336주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유상증자는 왜 하는 것이며, 위 사례 같은 경우 이후 일정이나 이에 대한 영향은 어떻게 벌어질까요?
유상증자란?
유상증자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는 방식입니다. 유상증자는 기업의 자본금을 증가시켜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개선하고, 기업의 성장을 위한 투자 자금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유상증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첫 번째 방식은 기존 주주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기존 주주는 신주 인수권을 갖고 있으며, 신주 인수권을 행사하지 않으면 신주가 배정되지 않습니다. 두 번째 방식은 주주 이외의 제3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기존 주주는 신주 인수권을 갖지 않습니다.
유상증자는 기업의 자금 조달에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주가 하락의 위험도 있습니다. 유상증자 청약이 실패하면 기업은 자금 조달에 실패하게 되고,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유상증자 청약 실패는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리게 되고, 이는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SK이노베이션의 이후 일정과 영향은 어떨까요?
위에 공시의 일부 내용이 매우 복잡해 보이지만 간단하게 실권주에 대해서 아래 일정 대로 일반공모 청약을 진행합니다.
일반공모청약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청약 포함) |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NH투자증권 주식회사,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 SK증권 주식회사 본·지점 | 2023년 09월 14일 ~ 2023년 09월 15일 |
일반공모 청약결과 일반공모 총 청약주식수가 일반공모 주식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청약주식수대로 배정하며, 배정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공동대표주관회사 및 인수회사의 인수한도 의무주식수를 한도로 하여 개별인수 의무주식수만큼 자기 계산으로 잔액인수하기로 합니다.
유상증자 100% 청약 실패 시 주가 영향은 어떨까요?
청약 실패 시 주가는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기존 주주에게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는 방식입니다. 유상증자 청약이 실패하면 기업은 자금 조달에 실패하게 되고,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유상증자 청약 실패는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리게 되고, 이는 주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 청약 실패 시 주가 하락의 정도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 업황, 투자자들의 기대감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무 건전성이 양호한 기업이라면 투자자들의 신뢰를 유지할 수 있고, 주가 하락의 폭이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반면, 재무 건전성이 취약한 기업이라면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게 되고, 주가 하락의 폭이 클 수 있습니다. 또한, 업황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주가 하락의 폭이 커질 수 있습니다.
유상증자 청약을 앞두고 있는 투자자는 유상증자 청약 실패 시 주가 하락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또한, 유상증자 청약이 실패한 기업은 재무 건전성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는 어떨까요?
오늘 다른 2차 전지도 소폭 조정이 있는 종목이 있었습니다. 유상증자 때문이다! 딱 말하기 어렵지만 영향은 어느 정도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유상증자로 원했던 자금 조달을 100% 못하는 것이 아니라 증권사에서 잔액을 인수하기 때문에 자금력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전에 엔켐도 이랬더랬죠.. KB증권에서 잔액인수를 해서 블록딜 하기까지 그리고 아직도 주가가 많이 눌려 있었습니다. 물론 이후도 잘 움직이지 못하기도 했습니다. 이노베이션이 상황이 잘 타개될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본 내용은 SK이노베이션에 대한 추천의 글이 아니며 유상증자에 대한 여러 사례 중 하나를 공부하는 글입니다.
'하루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高)유가 그 이유는? (3) | 2023.09.11 |
---|---|
잭슨홀미팅 - 8월 24~26일 파월의장 발언은? (19) | 2023.08.21 |
중국 제2의 리먼사태 - 리먼 사태란? (22) | 2023.08.19 |
"D의 공포"가 다가온다 - 디플레이션의 영향 (16) | 2023.08.17 |
中 부동산 디폴트 위기란? (21) | 2023.08.16 |